무위도식의 오후,
불식을 했다면 산암사 뒷간으로 찾아들지는 않았을 것이다.
저녁 예불시간 뱃속 근심이 큰 장독에 고인 물처럼 출렁거려 뒷간에 앉는다.
사실 나는 내 죄를 안다.
그리하여 범종소리 따라 한 겹 한 겹 밀려와 두꺼워지는 어둠에 엉덩이를 깔고 뉘우친다.
가벼워진 세상의 발들 殿을 돌아 장등丈燈이 밝혀주는 대웅전 앞 섬돌을 밟고 오를 시간,
나는 뒷간 무명 속에 발 저리도록 쪼그리고 앉아 진실로 뉘우친다.
내 죄의 반은 늘 식탐에 있다.
법고소리에 기름진 가죽이 함께 울고,
목어의 마른 울음 오장육부를 북북 긁고 간다.
운판 소리의 파편이 뼈 마디마디 파고들어 욱신거린다.
선암사 뒷간에 앉아 스스로에게 다짐한다.
근심을 버리자! 근심은 버리려 하지 말고 만들지 말아라.
뒷간 아래 깊은 어둠이 죽비를 들어 내 허연 엉덩이를 사정없이 후려친다.
마음을 비우자! 마음은 처음부터 비워져 있는 것이다.
나무 벽 틈새로 스며들어온 꽃샘바람이 주장자를 들어 내 뺨을 친다.
뱃속 근심이 우주의 근심을 만드는 저녁,
염주알 구르는 작은 원융의 소리에도 사방 십리 안 모든 봄나무들이
깨달음의 문을 열어 꽃등불을 켜는데,
나는 내 몸의 작은 뒷문 하나 열지 못하고,
단 몇 푼의 근심조차 내버리지 못한 채
선암사 뒷간에 쪼그리고앉아 뉘우친다.
edit - bo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