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논산 관촉사 written by 한국의 사찰과 문화유산 |
|
관촉사는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관촉리 반야산(般若山)에 있는 절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968년(광종 19) 혜명(慧明)에 의해 창건될 때 조성된 석조미륵상이 발산하는 빛을 좇아 중국에서 명승(名僧) 지안(智眼)이 와 예배했다고 하여 관촉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
|
|
|
법당은 1386년(우왕 12) 건립해
1581년(선조 14)과 1674년(현종 15)에 중수했으며 1735년(영조 11) 다시 중수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경내에는
관음전·삼성각·사명각·해탈문·현충각 등의 당우가 남아 있으며, 석조보살입상(보물 제218호)과 석등(보물 제232호)을 비롯해
사리탑·연화배례석·사적비 등이 있다. |
관촉사 석문(충남 문화재자료 79호) |
|
|
▲ 관촉사 석문 전경 |
관촉사는 고려 광종 19년(968) 혜명이 창건한 사찰로, 절내에 들어서려면 이 석문을 통과하여야 한다. 다른 사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문으로 일명 ‘해탈문’이라고도 부른다. 문은 네모난 돌기둥을 양쪽에 세운 후, 양 기둥 뒤쪽으로 길쭉한 돌을 5개씩 쌓아 옆면을 이루게 하였다. 기둥 위로는 네모지고 넓적한 돌을 얹어 놓아 전체적으로 4각의 모습을 하고 있다. 관촉사가 건립된 후 참배객이 몰려드는 것을 막기 위해 동·서·남·북 4곳에 이러한 문을 두었는데, 그중 동쪽에 세운 이 문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석문을 세운 시기에 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관촉사가 건립되었던 고려시대로 짐작된다. |
|
|
▲ 윤장대 방향에서 바라 본 미륵전 | ▲ 범종각 |
|
|
▲ 대웅보전 앞의 누각 | ▲ 대웅보전 |
|
|
|
▲ 명부전 | ▲ 윤장대 | ▲ 삼성각 |
|
▲ 관촉사 경내 전경 ▼ |
|
|
|
▲ 삼성각에서 내려다 본 관촉사 경내 전경 |
|
|
▲ 배례석과 석탑 전경 |
관촉사 배례석(충남 유형문화재 53호) |
|
|
|
관촉사 석등에서 약 10m 동쪽으로 떨어진 화단안에 있는 것으로, 절을 찾은 불자들이 부처님께 합장하고 예를 갖추는 장소로 사용된다. 직사각형의 받침돌 형태로, 옆면에는 안상(眼象)을 옅게 새긴 후 그 안에 고사리 무늬 같은 버섯구름 모양을 새겨 넣었다. 윗면에는 가운데 커다란 연꽃을 중심으로 좌우에 그보다 약간 작은 연꽃 두 송이와 2개의 연줄기를 조각하였다. 조각이 정교하고 장중한 맛이 풍기며, 오랜 세월이 흘렀음에도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우수한 작품으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보물 232호(관촉사 석등) |
|
|
|
▲ 보수 중인 석등(중간 사진은 논산시청, 우측 사진은 문화재청에서 가져 옴) |
관촉사 앞뜰의 큰 석불 앞에 놓여있는 4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어,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고려식으로,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 새겨진 굵직한 연꽃무늬가 두터움을 드러내고 있다. 가운데받침은 각이없는 굵고 둥그런 기둥으로 세웠는데, 위아래 양끝에는 두줄기의 띠를 두르고, 중간에는 세줄기의 띠를 둘렀다. 특히 중간의 세 줄기 중에서 가장 굵게 두른 가운데 띠에는 8송이의 꽃을 조각하여 곱게 장식하였다. 2층으로 이루어진 화사석은 1층에
4개의 기둥을 세워 지붕돌을 받치도록 하였는데, 기둥이 빈약한 반면 창은 터무니없이 널찍하다. 각 층의 지붕들은 처마가 가볍게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네 귀퉁이에는 큼직한 꽃 조각이 서 있어 부드러운 조화를 이룬다. 꼭대기는 불꽃무늬가 새겨진 큼직한 꽃봉오리모양의 장식을 두었는데,
조각이 두터워서 인지 무거워 보인다. |
보물 218호(관촉사 석조 미륵보살입상) |
|
|
|
|
|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으로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리며 높이가 18m에 이르는데, 당시 충청도에서 유행하던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높은 관(冠)을 쓰고 있고, 그 위에는 이중의 네모난 갓 모양으로 보개가 표현되었는데, 모서리에 청동으로 만든 풍경이 달려 있다. 구에 비하여 얼굴이 큰 편이며, 옆으로 긴 눈, 넓은 코, 꽉 다문 입 등에서
토속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옷주름선이 간략화되어 단조롭다. 불상의 몸이 거대한 돌을 원통형으로 깎아 만든 느낌을
주며, 대형화된 신체에 비해 조각수법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
▲ 은진미륵 우측에 있는 석비 모습 |
'화무십일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라도 아름다운길 20선 (0) | 2010.03.17 |
---|---|
[스크랩] 충남 논산 관촉사 (0) | 2010.03.17 |
[스크랩] 정조 이산이 남긴 것 - 화성행궁 : 500장 이상의 사진으로 보는 수원 화성 (0) | 2010.03.17 |
[스크랩] 강원 정선 정암사 (0) | 2010.03.17 |
[스크랩] 캐나다(Canada) 의 문화유산 - 퀘벡(Quebec) (0) | 2010.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