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
그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봄은 오지 않았다 복숭아나무는
채 꽃피기 전에 아주 작은 열매를 맺고
不姙(불임)의 살구나무는 시들어 갔다
소년들의 性器(성기)에는 까닭없이 고름이 흐르고
의사들은 아프리카까지 移民(이민)을 떠났다 우리는
유학가는 친구들에게 술 한잔 얻어먹거나
이차대전 때 南洋(남양)으로 징용간 삼촌에게서
뜻밖의 편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어떤
놀라움도 우리를 無氣力(무기력)과 不感症(불감증)으로부터
불러내지 못했고 다만, 그 전 해에 비해
약간 더 화려하게 절망적인 우리의 습관을
修飾(수식)했을 뿐 아무것도 追憶(추억)되지 않았다
어머니는 살아 있고 여동생은 발랄하지만
그들의 기쁨은 소리없이 내 구둣발에 짓이겨
지거나 이미 파리채 밑에 으깨어져 있었고
春畵(춘화)를 볼 때마다 부패한 채 떠올라 왔다
그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우리는 봄이 아닌 倫理(윤리)와 사이비 學說(학설)과
싸우고 있었다 오지 않는 봄이어야 했기에
우리는 보이지 않는 監獄(감옥)으로 자진해 갔다
(괄호 안의 한자 읽기는 인용자의 표기임)
이성복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중에서
그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봄은 오지 않았다 복숭아나무는
채 꽃피기 전에 아주 작은 열매를 맺고
不姙(불임)의 살구나무는 시들어 갔다
소년들의 性器(성기)에는 까닭없이 고름이 흐르고
의사들은 아프리카까지 移民(이민)을 떠났다 우리는
유학가는 친구들에게 술 한잔 얻어먹거나
이차대전 때 南洋(남양)으로 징용간 삼촌에게서
뜻밖의 편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어떤
놀라움도 우리를 無氣力(무기력)과 不感症(불감증)으로부터
불러내지 못했고 다만, 그 전 해에 비해
약간 더 화려하게 절망적인 우리의 습관을
修飾(수식)했을 뿐 아무것도 追憶(추억)되지 않았다
어머니는 살아 있고 여동생은 발랄하지만
그들의 기쁨은 소리없이 내 구둣발에 짓이겨
지거나 이미 파리채 밑에 으깨어져 있었고
春畵(춘화)를 볼 때마다 부패한 채 떠올라 왔다
그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우리는 봄이 아닌 倫理(윤리)와 사이비 學說(학설)과
싸우고 있었다 오지 않는 봄이어야 했기에
우리는 보이지 않는 監獄(감옥)으로 자진해 갔다
(괄호 안의 한자 읽기는 인용자의 표기임)
이성복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중에서
출처 : 무아생각
글쓴이 : 무아 원글보기
메모 :
'생각하는 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울한 샹송 (0) | 2010.03.16 |
---|---|
[스크랩] 사랑은 가고 신파만 남았다 (0) | 2010.03.16 |
[스크랩] 벚꽃 핀 술잔 (0) | 2010.03.16 |
[스크랩] 흰 바람벽이 있어 (0) | 2010.03.16 |
[스크랩] 생일파티 (0) | 201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