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무십일홍

[스크랩] 초겨울에 떠나는 남도여행 #1(無爲寺, 白蓮寺, 茶山草堂)

무아. 2010. 3. 17. 10:15
 
 
 
 


 
 
   초겨울에 떠나는 남도여행 #1  
 
 (無爲寺, 白蓮寺, 茶山草堂)
 
 
 2007.11.26
 
 
지난번 홀로여행에 이어...이번에는 내자와 함께 남도여행을 다시 떠나봅니다...
 
 
 
 
강진 무위사 가는 길목에서 바라다 본 월출산...  
 
 
 
 
 
 


 
 
 
 
 
 
 
 


 
 
 
 
 
 
 
 


 
본전인 極樂寶殿...국보 제13호
 
 
 
 
 
 


 
 조선 세종조 12년(1430년)에 지어진 정면 3칸, 측면 3칸에 柱心包(주심포) 맞배집이며...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의 조사당, 수덕사의 대웅전과 같은 고려시대 맞배지붕 주심포집을 이어받았다고 하며... 
 
 
 
 
 
 


 
성종 7년(1476년)에 그림을 끝맺었다는 아미타 삼존불 벽화와...삼존불... 
 
 
 
 
 
 


 
극락보전의 측면...기둥과 들보를 노출시키면서 조화로운 면분할로 집의 단정한 멋을 풍깁니다... 
 
 
 
 
 
 


 
 
 
 
 
 
 
 
무위사를 뒤로하고 같은 강진땅 백련사로 향합니다...
 
 
 
 


 
절 입구부터 동백나무숲이 시작됩니다...
 
 
 
 
 
 


 
 이 동백나무숲은 천연기념물 151호로 지정되었고...이 동백나무 터널을 지나서 백련사로 들어갑니다... 
 
 
 
 
 
 


 
 
 
 
 
 
 
 


 
 
 
 
 
 
 
 


 
 
 
 
 
 
 
 


 
萬景樓의 누마루에서 올려다본 대웅보전...글씨는 당대의 명필 圓嶠 李匡師의 글씨라고 합니다... 
 
 
 
 
 
 




 
 
 
 
 
 
 

 
저 멀리 강진만이 내려다 보이고... 
 
 
 
 
 
 


 
 
 
 
 
 
 
 


 
 
 
 
 
 
 
 


 
 
 
 
 
 백련사는 동백꽃을 구경할 목적만으로도 찾아올 만 한데...그 시기는 동백꽃이 반쯤 져갈때...탐스러운 꽃송이가 목이 부러지듯 쓰러져...
 
나무 밑 풀밭을 시뻘겋게 물들이고 꽃송이들이 홍채를 잃지않은 3월 중순께가 좋다고 합니다... 
 
 
 
 
 
이어서 백련사에서 가까이에 있는 다산초당으로 이동합니다...
 
 
 


 
다산초당 가는 길...
 
 
 
 
 
 


 
 가는 길은 소나무와 잡목이 우거져 어둡습니다...
 
 
 
 
 
 


 
 
 
 
 
 
 
 


 
 다산초당...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기와 지붕...
 
원래 이집은 조그만 草堂이었다고 하는데...무너져 폐가가 된것을 1958년 다산유적보존회가 이렇게 다시 지었다고 하며...
 
다시지을때 좁은 공간에 어울리지 않는 크기로 인해...예비지식없이 온 사람들은 유배객 팔자가 늘어졌다는 생각을 갖고 가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茶山草堂...편액의 글씨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집자해서 만든것이라고 합니다... 
 
 
 
 
 
"나는 신유년(1801) 겨울에 강진에 도착하여 동문 밖 주막집에 우거하고... 을축년(1805) 겨울에는 寶恩山房에서 기식하였고...
 
병인년(1806) 가을에는 鶴來(이청) 의 집에 이사가 있다가...무진년(1808) 봄에야 다산에서  살았으니 통계하여 유배지에 있었던 것이...
 
 18년인데...읍내에서 살았던 게 8년이고 다산에서 살았던 것이 11년째였다...처음 왔을 때에는 백성들이 모두 겁을 먹고 문을 부수고 담을...  
 
무너뜨리고 달아나며 편안히 만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다산신계》중에서...
 
 
 
 
 
 


 
茶山草堂 당시의 모습은...  
 
 
 
 다산이 유배에서 풀려난 지 3년되는 1821년 당시 육순때 자신의 묘지명을 스스로 지은 장문의 自撰墓誌銘에서 당시 茶山草堂의 모습을 언급했다...
 
 
 "무진년(1808) 봄에 다산으로 거쳐를 옮겼다...축대를 쌓고 연못을 파기도 하고 꽃나무를 벌여 심고 물을 끌어다 폭포를 만들기도 했다,
 
동서로 두 庵을 마련하고 장서 천여 권을 쌓아두고 저서로서 스스로 즐겼다... 다산은 만덕사(지금의 백련사)의 서쪽에 위치한 곳인데 처사 윤단의 山亭이다"
 
《유홍준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중에서... 
 
 
 
 
 


 
 茶山東庵...다산이 기거하던 곳...글씨는 정다산의 글씨를 집자하여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유명한 牧民心書 등의 글이 이 東庵에서 지어지고...
 
 
 
 
 
 


 
天一閣...당시에는 없던 누각이나 위치로 보아 강진만(구강포)을 내려다보는 시원스런 전망이 있었기에...
 
다산초당이 자리잡은 것이고 독서와 저술에 지치면 초당과 東庵을 나와 이자리 그루터기나 바윗등에 앉아 구강포의 바다를 보며 생각에 잠기고...   
 
 
 
 
 
 
 


 [자료사진] 정다산의 매화와 새(梅鳥圖)...
 
1813년 7월 14일 다산동암에서...44.9×18.5㎝ 고려대박물관소장
 
아내가 보내준 치마를 오려 장첩을 만들어 그림과 글씨를 쓴 애절한 사연이...

 
 
 
 
 翩翩飛鳥(편편비조)    息我庭梅(식아정매)       파르르 새가 날아 내 뜰 매화에 앉네
 
  有烈其芳(유열기방)    惠然其來(헤연기래)       향기 사뭇 진하여 홀연히 찾아왔네   
 
爰止爰棲(원지원서)    樂爾家室(낙이가실)       이제 여기 머물며 너의 집을 삼으렴
 
華之旣榮(화지기영)    有賁其實(유분기실)       만발한 꽃인지라 그 열매도 많단다 
 
 
 
외로움을 달래려 날아든 새에게조차 함께 살자고 조르는 정약용의 심사를 알 만도 한데...

그 옆에 씌여 있는 이 그림과 글씨의 사연이 더욱 쓸쓸하다
 
 
 
 
余謫居康津之越數年  洪夫人寄敞裙六幅  歲久紅유  剪之爲四帖  以遺二子  用其餘  爲小障  以遺女兒
 
 
내가 강진에서 귀양살이한 지 수년 됐을때     부인 홍씨가 헌 치마 여섯폭을 부쳐왔는데
 
이제 세월이 오래되어 붉은빛이 가셨기에     가위로 잘라서 네첩(帖)을 만들어     두 아들에게 물려주고
 
그 나머지로     이 족자를 만들어     딸아이에게 준다 
 
 
 《유홍준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중에서...
 
 
 
 
 


 
 강진 다산초당에서 해남 대흥사로 가는 길에 만난 풍경...
 
 
 
 
 
 

                                                                                                                                             Konica Minolta  Dynax 5D  +  Sigma 17-70 f2.8-4.5
   
 
                                                                                                                                                                                                  
   산사명상음악 - 산거 
 
 
 
 
 2편에서 계속됩니다...
 
 
출처 : ♣ 이동활의 음악정원 ♣
글쓴이 : 동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