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가된나무

[스크랩] Piazzolla Libertango Yo-Yo Ma Soul of the Tango (펌)^^

무아. 2010. 3. 15. 13:38
 
피아졸라 리베르탱고
Astor Pantaleon Piazzolla, 1921 - 1992
M.H Jung, Cond
Arr. LUIS BACALOV
CORO E ORCHESTRA DELL`ACCADEMIA NAZIONALE DI SANTA CECILIA 
Soul of The Tango
Yo-Yo MA,  Cello
Libertango
 
K. Stott l. Marconi und Andere, Nestor Marconi, Antonio Agri, Horacio Malvicino, Hector Console, Leonardo D. Marconi 
     
Piazzolla Libertango Yo-Yo Ma Soul of the Tango
 
     
   
Piazzolla
음악은 이해 되는 것이 아닌 느껴지는 것.
"한 번 경험하면 절대 잊을 수 없는, 믿을 수 없을 만큼 힘을 가진 에너지가 있다."
"처음 피아졸라가 연주하는 것을 들었을 때, 그것은 충격이었다. 거기에는 에너지의 강한 전율이 있었다. 한 번 경험하면 절대 잊을 수 없을 만큼의 힘을 가진 에너지였다. 그 힘은 우리 자신의 에너지를 확장시키고, 존재의 진정한 기쁨을 느끼게 하며, 이전보다 더 많은 것을 시도할 수 있는 용기를 불어넣어 준다."
"관능적인 것과 지적인 것이 무조건 대립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피아졸라는 바흐를 매우 존경했고 아마 오늘날이었다면 바흐도 피아졸라를 그 못지않게 존경했을 것이다. 나는 바흐의 작품에서 철학자, 또는 사제로서의 그가 아니라 지금이라면 우리와 마찬가지의 삶을 살고 있을 살아있는 한 인간으로서의 그를 본다. 나는 피아졸라의 음악을 지나치게 관능적인 소리로 포장한 몇몇 싸구려 음반을 알고 있다. 내게 있어 그것은 마치 바흐의 음악을 기계적으로 들려주는 것과 똑같이 낯설고 어색하다."
"피아졸라와 사랑에 빠지는 것은 내게 특별하다. 사랑에 빠진다는 것은 언제나 특별하지만 음악과 사랑에 빠지는 것은 그 무엇보다 특별하다. 음악과의 사랑은 사람으로 하여금 이전에 전혀 해본 적이 없는 무엇인가를 하게 하고 현대 음악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준다. 내게 있어서 음악이란 단지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느껴져야 한다는 것은 아주 본질적이다." 
기돈 크레머
     
 
Piazzolla Libertango European Jazz Trio
European Jazz Trio
     
피아졸라는 어려서부터 반도네온을 연주하면서 탱고음악을 익혔지만 그에겐 그것을 자신의 뿌리로 받아들여 자리를 잡기까지는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했다. 카바레에서 일하면서 틈틈이 작곡을 하던 그는 마침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와 있던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을 찾아갔고, 루빈스타인의 소개로 히나스테라를 사사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작곡수업을 받게 되었다. 그 후 탱고는 잊어버린 채 교향곡과 협주곡, 실내악 등에 몰두한 그는 마침내 아르헨티나 작곡 콩쿠르에 '신포니에타'를 출품하여 비평가들이 선정한 올해 최고의 곡으로 뽑혔고, 그 덕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아 파리로 갈 수 있었다. 그곳에서 만난 나디아 블랑제는 그의 음악과 인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카바레에서 탱고를 연주했다는 사실을 숨기고 싶었던 피아졸라와는 달리 블랑제는 탱고야말로 피아졸라 음악의 근원임을 알아차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만들도록 격려했던 것이다. 그제서야 오랜 방황에서 돌아와 자신의 뿌리를 갖게 된 피아졸라는 그 뿌리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다음과 같이 고백하고 있다.
"대통령은 바뀌어도 좋습니다. 대주교나 추기경, 축구선수... 다른 것은 다 바뀌어도 상관없습니다. 그러나 탱고는 다릅니다. 탱고는 있던 그대로 놔둬야지요."
그는 음악가로서의 그의 인생을 숙명으로 받아들였다.
"음악은 여자 이상이지요. 여자와 결혼을 한 다음 이혼할 수 있지만 음악은 그렇지 않지요. 한 번 결합을 하고 나면 평생동안 영원히 사랑하고 땅에 묻힐 때도 함께 묻힙니다."
"아스토르 피아졸라는 직선적이고 솔직하다. 그는 감상에 빠지는 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현학적이고 속물적인 사람이라면 반대하겠지만, 나는 확신한다. 그는 당신을 감동시킬 것이다."
모든 것이 비틀거리고 꼬여 있는 이 세상에 그렇지 않은 무엇이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감동적일 수밖에 없다. 그저 슬프고 끊임없이 반복되는 탱고가 그렇고 그것을 만든 피아졸라가 그렇다.
<객석> 발췌
     
Piazzolla Libertango
ltinerary of a genius
 
     
Astor Piazzolla
1934년 뉴욕, 시대를 초월한 최고의 탱고가수 카를로스 가르델 Carlos Gardel이 점심을 들고 있었고, 열세 살 소년의반도네온 연주는 한창 활기를 띄고 있었다. 소년의 탱고 연주를 듣던 대가수의 한마디, "얘야, 네 fueye는 멋지지만 탱고는 꼭 갈리시아(스페인 서북부지방) 사람처럼 연주하는구나." 피아졸라네 집에서 있었던 이 식사자리에서 어린 연주자는 바로 아스토르였다.
아르헨티나 대중음악 역사상 아스토르 피아졸라 만큼 논란을 불러일으킨 사람도 없었다. 그는 탱고라는 '신성한' 음악에 혁명을 일으켰고, 이에 전통적인 탱고 음악인들은 결코 그를 용서하지 않았다. 그는 거기에 별로 개의치 않고, 자신의 작업을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음악'이라고 말했으며 곧 외톨이가 되었다. "실망스럽게도 탱고의 세계는 바로 아르헨티나와 닮아 있다. 만약 당신이 평범함에서 벗어난다면 곧 미치광이 취급을 받아 누구도 당신을 다양한 각도로 이해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그의 이러한 생각에 대해서건 혹은 작품에 대해서건 그를 둘러싼 사람들은 중간은 없이 열렬한 지지자 아니면 적으로 양분되었다.
     
The Quintet Circa 1987 (Malvicino, Console, Piazzolla, Suarez Paz, Ziegler)
Photo Taken from the CD "La Camorra", Americam Clave 1988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상징이 되어있는 아스토르 피아졸라지만 1921년 이곳에서 약 400km 떨어진 마르 델 플라타에서 태어나 세 살 때 그의 가족과 함께 약속의 땅 뉴욕으로 향했다. 거기서 이후 그의 작품에 눈에 띄게 영향을 준 재즈를 흡수하는 한편, 이후 그의 인생을 함께할 악기 반도네온을 처음으로 얻게 되었다.
이 시기 그의 아버지는 뉴욕의 건달들이 드나들던 이발소를, 어머니는 그들의 부인과 여자친구들이 드나들던 미용실을 운영했다. "한번은 유태인 건달이 와 있는데 이탈리아 건달이 들어오더니 서로 싸우다 결국 죽이더군." 피아졸라 는 유명한 권투선수 록키 마르시아노 Rocky Marciano 가 이끄는 패거리의 일원이면서 큰 야구경기의 출전을 앞둔 투수였지만 곧 그들로부터 도망쳐 바하를 공부하기 위해 숨어버렸다.
1930년대 말 전쟁이 임박해오며 미국도 더 이상 안전한 피난처가 될 수 없었고 피아졸라는 그의 고향 마르 델 플라타로 돌아왔다. "나는 마치 화성에서 온 외계인이었다. 반도네온으로 랩소디 인 블루를 연주하는. 모든 탱고 음악인들은 날 미친 녀석이라고 했고." 가까스로 탱고 오케스트라에서 일자리를 구했지만, "급여를 받으러 가니 그러더군요. "뭐? 돈을 달라고? 넌 돈 못 받는 걸 배우러 여기 들어온 거야."" 얼마후 그는 새로운 기회를 잡으려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떠났다.
그를 존경해 마지않던 피추코 Pichuco 는 아스토르는 단순한 반도네온 연주자 이상이라며 항상 그를 지지했으나 몇가지 문제점들이 표출되었다. "그는 항상 내게 이상한 것을 쓰지 말라고 하거나 심지어 직접 삭제해 버리기도 했다." 그러나 피아졸라는 그의 천재성을 그렇게 묶어두지 않고 그 보수적인 환경에서 떠나기로 했다. "어느날 내가 복잡한 화음을 소개하자 일은 터졌다. 연주자들이 럭비선수들처럼 몰려와선 날 미친놈으로 몰아세웠다."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하는데 지친 그는 그곳을 떠나 그만의 밴드를 결성했다.
그때가 바로 새로운 탱고의 출발이 되었다. 음악에서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는 굳은 신념을 가지고 이 시기 그는 마흔다섯 장의 음반을 발표하는 한편 3인밴드와 9인밴드를 결성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중들은 이해하지 못했으며 음반기획사 또한 그의 작업을 외면했다. 크게 실망한 그는 공부를 계속하기 위해 파리로 떠났다.
프랑스에서 그는 가장 빛나는 시간을 맞이하게 되었다. 아버지의 죽음을 추모한 'Goodbye Nonino'와 'Maria of Buenos Aires' 그리고 'Ballad for a Crazy'는 큰 반향을 일으켰고 영화 '가르델의 망명'의 곡들은 그에게 Caesar 상을 안겨주었으며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특별한 시민'으로 추대되었다.
"피아졸라는 누구도 넘보지 못할 탱고의 거장이다." - New York Times
"그는 인기는 롤링 스톤즈를 따라가지 못했지만 그의 음악은 훨씬 오래 남을 것이다." - La Stampa
1990년 8월4일 뇌를 다친 이후 심한 고통은 23개월이나 그를 괴롭혔고 결국 회복하지 못했다. 그가 마지막으로 이끌었던 밴드의 일원이었던, 작곡가이자 반도네온 연주자인 Daniel Binelli는 말했다. "그는 부에노스 아이레스를 표현하는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냈고 그것은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다." 피아졸라는 반도네온으로 표현된 부에노스 아이레스 거리의 음악, 바로 그 자체였다.
from : 'Buenos Aires spin'  Translated by Eun Joo
 
자료 올린분:리차드강
출처 : 하얀미소가 머무는 곳
글쓴이 : 말쑤니 원글보기
메모 :